<홀릭의 책 리뷰>
<디디의 우산>은
황정은의 연작소설이다.
연작소설은 일정한 연관성을 지니며
하나로 묶이는 소설을 말한다.
각각의 소설대로 완결성이 있고
그와 동시에 소설끼리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인다.
이를테면, 따로 또 같이의 느낌이랄지.
단편의 확장으로 단편끼리 연결이 되며
함께 해석할 여지가 있다.
디디의 우산은
2개의 중편소설로 구성된다.
'd' 그리고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1. d
(주의: 스포 일부 있음)
첫번째 소설 제목은 d.
주인공으로 d와 dd가 등장한다.
d의 아버지, 어머니는 이름으로 표기한다.
d, dd만이 익명이다.
d의 아버지는 목수였다.
d는 자라면서 톱 소리처럼
시끄러운 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dd를 만난 이후로는
dd가 d의 신성한 것이 되었다.
dd는 d에게 계속되어야 하는 말,
처음 만난 상태 그대로,
온전해야 하는 몸이었다.
d는 dd를 만나 자신의 노동이
신성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 d, 황정은
d와 dd는 어린시절 동창으로
동창회에서 다시 만난다.
d는 우산을 잃어버려 dd와 한 우산을 쓰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우산을 인연으로 dd는 d에게 특별한 사람이 된다.
d는 그간의 흔적들이
멀고도 긴 궤적을 그린 끝에
자신에게 돌아왔음을 느꼈다.
세계는 잡음으로 가득했다.
- d, 황정은
그런데 버스 사고로 dd를 잃게 된 d.
건조하게 사물들을 설명하는데도
이부분에선 슬픔이 밀려왔다.
남겨진 자의 마음과 공허함을 서술한다.
시대의 돌봄을 받은 적은 거의 없지만
알아서 먹고살며 시대를 이루었고
이제 시대의 뒤꽁무니에 남은 사람들,
- d, 황정은
혼자 남겨진 d는 고시원으로 이사를 하고,
세운상가에서 택배 상하차 일을 시작한다.
고시원과 세운상가의 공간적 이미지는
고단함을 보여준다.
택배일도 고단한 육체노동이다.
dd를 잃은 슬픔을 느낄새 없이
일하고 잠이 들지도 모른다.
그리고 세운상가에 남은 사람들은
무언가를 잃어버린 듯한,
쓸쓸함을 자아냈다.
공간을 공간이 되게 하는 소리.
dd는 그것을 들어보았을 것이라고 d는 생각했다.
LP를 가지고 있었으니까.
d는 마지막까지 집중해서 듣고
한번 더 들을 수 있느냐고 물었다.
- d, 황정은
d의 단조로운 일상의 반복을 깬건, 소리였다.
dd와 듣던 음악을 LP로 듣기 위해 d는 깨어났다.
축음기는 잡음을 모아 걸러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 낸다.
한편, d는 동창과 함께 청계천을 걷는다.
그곳엔 세월호 추모가 있고, 경찰부대가 있다.
흔적없이 사라진 사람들,
남겨져 살아 내는 사람들,
슬픔에 함께하는 사람들, 혁명에 가담한 사람들이다.
세상을 바꾸려는 움직임은 아주 하찮은 것에서
출발한다고 느꼈다.
이 소설은 LP판 위에서
탁탁 튀며 늘어지는 음악인가 싶다가,
끝날 무렵 눈물이 똑똑 떨어지는 음악같았다.
2.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책 이야기로 시작하는 이 소설은
기사인용, 책 원문 인용이 많아
중간 중간 어려웠음을 고백한다.
이해안되는 부분은 스킵하고, 쭉쭉 읽어나갔다.
12편의 습작소설을
완성시키지 못한 채
계속 쓰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주된 사건으로
1996년 연세대학교에서 일어난,
한총련 포위사건을 다룬다.
국민을 국가의 적으로 규정하고
잔혹하게 진압한 정부로부터
싸울 이유를 찾아낸 사람들도 있었으나 소수였고,
그들의 이야기에 공감해주는 이들은
더욱 소수였다.
-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황정은
정부에대한 소수의 투쟁이
빨갱이, 폭력시위라는 이름으로
프레임을 씌우는 과정을 드러낸다.
그리고 세월호와 촛불 혁명까지 현대사를 아우르는
혁명들이다.
그러니까 그는
그걸 말하고 싶은 것 같다.
네가 얼마나 하찮고 무력하고
같잖은 존재인지를 알라.
-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황정은
이 소설에서는 뿌리박혀 있는 가부장제, 성차별,
동성애 차별도 가감없이 이야기한다.
충격적일 정도로, 신문기사도 등장하며 사실성을 높인다.
현재를 살며, 부당한 것들에 대해
맞서 싸우는 그런 정신을 담았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완전히 배제되는
가족형태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남자, 여자가 결혼하는 보통의 형태 말고
여자와 여자가 20년 이상 살고 있는데도
그들은 서로 보호자가 되지 못하는 현실을 말이다.
그 현실을 아프게 꼬집는다.
그건 상식이지,라고 말할 때
우리가 배제하는 것이 너무나 많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너와 나의 상식이 다를 수 있으며
내가 주장하는 상식으로
네가 고통을 당할 수도 있다는
가정조차 하질 않잖아.
-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황정은
"상식이 절대적인 것일까?"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는 소설이다.
황정은은 고통스러운 소수에게 힘을 보탠다.
가장 어려운 위치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물결을 이루는 혁명을 말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사건 이후로
남일당에 간 적이 없었다.
가봤자, 무력감만 확인할 테니까.
그리고 우리는......
우리는 철거민이 아니었지.
아니었고 아니며 앞으로도 아닐 거라고
우리는 믿었지.
-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황정은
남일당은 2009년 용산 참사가
발생했던 건물이다.
내겐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고 생각하면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말이다,
이런 일이 자신에게 일어나지 않는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
이 포스팅은 서평단에 응모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