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금희 작가님 간단 소개
- 부산 출생, 인천에서 자랐다.
- 2014년 소설집 《센티멘털도 하루 이틀》
- 2016년 소설집 《너무 한낮의 연애》
- 2018년 첫 장편소설 <경애의 마음>
<경애의 마음> 책 소개
“이야기를 완성할 수 있었다. 마음을 다해 썼다.”
- <경애의 마음>, 작가의 말
<경애의 마음>은 상처를 가지고 있는
평범한 두 주인공 경애와 상수가
그 상처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그렸다.
작가는 '평범함의 위대함'을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전한다.
일상을 받치고 있는 힘이
바로 보통의 마음들이라는 것이다.
북토크: 질문과 답변
* 사회-최현우 시인(왼쪽), 김금희 작가(오른쪽)
Q. '경애의 마음' 제목의 의미는?
A. '경애'라는 이름은 구상 단계에서 생각했다.
(이름이 주는 느낌이)
흔하면서 따뜻하면 좋겠다.
두 남녀가 조력자가 되어
상처, 연애, 일 등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그리자.
(이 책을 집필하기 시작한)
2016년 촛불집회를 보며
아름다운 질서라고 느꼈고,
(서로 경애하는) 사회가 되면 좋겠다는 마음을 담았다.
Q. 작가님은 대개 어떤 마음으로 글을 쓰시는지 궁금하다.
A. 작품마다 쓰는 마음이 확실히 다르다.
단편 <세실리아>를 쓸때는 상처가 터져나오는 벅차오르는 느낌,
단편 <고기>는 분노, 화가 나서 썼다.
<경애의 마음>은
지금 나에게 온 (여러가지) 감정들,
나도 모르는 것을 글로 해명해나가고 싶었다.
Q. 김금희의 인물들은 어떻게 창조되는가?
예를 들어 <경애의 마음>에서 상수, 경애는 어떻게 창조되었는지?
A. 주변 사람들이나 카페 등(일상생활)에서 힌트를 얻는다.
재밌는 점이나 자극받은 점들을 쓴다.
상수의 경우, 주변 남성들의 이야기들을 인물에게 조각하듯 불어넣었다.
경애는 "극복"의 무게를 짊어지고 있는 캐릭터이다.
(소설 속) 은총이라는 인물(경애의 상처)을 극복해야 한다.
소설을 쓸수록 경애라는 캐릭터에 강한 의지력이 생겼다.
(이때문에)
생각했던 결말과 달라지기도 했다.
Q. <경애의 마음>에서 경애가
"청소조차 할 수 없는 상태"로
우울에 빠진 슬픈 장면들을 알 것 같은 마음으로 설명해 주었다.
독자들에게 조언을 해주신다면?
A. 이같은 경험을 해본 적이 있다.
부모님들은 (자식들이 겪는 슬픔의)
내용은 모르지만
감지하시는 능력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말보다는 몸을 움직여 보여주신다.
우울감이 심해 잘 씻지 않고 오랜 기간 버티고
빨래도 쌓여 있었는데
엄마가 오셔서 치워주셨다.
빨래는 7번이나 돌릴 만큼 무기력한 때였다.
슬픔에 대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나 자신에 대한 판단(우울감)은 일시적이다.
실제의 나는 '태어났을 때부터 지금까지 살아온 시간들'이 나다.
현재의 내가 그걸
(깎아내리든, 낮게 보든) 평가할 순 없다.
그 순간이 지나가면
마음의 체력이 길러질 것이다.
홀릭의 <경애의 마음> 북토크 참석 후기
김금희 작가님이
<경애의 마음>을 직접
낭독해 주신 순간이 제일 좋았어요:)
은총이 죽고 나서도 한동안
무선호출기 번호는 살아 있어서
상수는 은총이 없다는 사실을 믿고 싶지 않을 때면
그 번호로 전화를 걸어보곤 했다.
- 중략 -
결국에는 아무도 듣지 못할 어떤 말을 하는 것,
그건 무용하고 허망하고 어떻게 보면
말이 아닌 말을 하는 것이기도 했다.
상수는 언제 오니,
할머니가 너 좋아하는 조기찌개 해놨는데,
하는 말을 듣다가 그것이 더이상
귀가를 확인하는 말이 될 수가 없다는 데 눈물을 흘렸다.
- <경애의 마음>, p.112
잔잔하면서
눈물이 차오를 것 같은 장면들이었어요.
실제로 북토크에서 만난 김금희 작가님은
섬세하고 포근한 위로를 건네는 분이셨어요.^^
최현우 시인의 위트있는 진행으로
작가님도 편안함을 유지하고
교류할 수 있던 시간이었습니다.
함께 참석한 독자들도
무척 적극적으로 질문하는 분들이었어요!
책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직접적인 대화는 없었지만..ㅎㅎ)
한 자리에서 경청했던 것도
후끈한~ 에너지가 느껴졌어요.
몽글몽글해진 마음을 느낀
<북토크> 후기였습니다 :)